교육과정체계
교육과정 체계
창신대학교 교육체계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비전 | 지역사회 공유가치 창출 스마트 휴먼교육 특성화 대학 | |||||||
교육목적 | 국가와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스마트 휴먼인재 양성 | |||||||
인재상 |
|
|||||||
핵심역량 | 인성 | 창의융합 | 소통 | 글로컬 | 디지털 |
음악학과 전공교육체계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교육목적 |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공연 및 문화예술 콘텐츠의 기획, 제작, 실연을 통해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문화예술 인재 양성 | |||||||
교육목표 |
|
|||||||
인재상 |
|
|||||||
전공역량 | 공연예술 기획 역량 | 공연예술 퍼포먼스 역량 |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 및 활용 역량 | 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역량 | 협력적 예술 프로젝트 수행 역량 |
전공역량정의 | 전공역량 | 정의 |
---|---|---|
공연예술 기획 역량 | 창의적인 공연 콘텐츠를 기획할 수 있는 능력 | |
공연예술 퍼포먼스 역량 | 악기 연주, 노래, 춤 등 공연예술 분야의 전문적인 기술을 숙련하고, 자신만의 예술적 표현 방식을 개발하는 능력 | |
문화예술 콘텐츠 개발 및 활용 역량 | 새로운 형태의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,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하여 문화콘텐츠를 제작, 유통, 홍보하는 능력 | |
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역량 | 다양한 문화예술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능력 | |
협력적 예술 프로젝트 수행 역량 | 다양한 예술가 및 산업 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공연예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, 폭 넓은 예술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능력 |
이수체계도
직업진로 | 지역 문화 선도 공연 기획자, 인성 기반 전문 공연 예술가, 디지털 융복합 문화예술 교육 혁신가 |
---|
전공역량 | 공연예술 기획 역량 | 공연예술 퍼포먼스 역량 |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 및 활용 역량 | |
---|---|---|---|---|
|
학년 | 이수구분 | 교과목명 |
---|---|---|
4학년 | 전공선택 | 전공실기 VII,VIII, 퍼포먼스와 합창 VII,VIII, 뮤직포토폴리오 I,II, 음악문헌 I,II, 졸업연주세미나 I,II, 레코팅 워크샵 I,II-캡스톤디자인, 클래식앙상블 III, 예술경영, 음악교육론, 국제언어음성기호, 악기론, 졸업연주, 문화예술교육현장의이해와실습, 기획제작 및 시연, 악식론 |
비교과 | 학생 중심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능동적 공연 기획, 음악으로 소통하는 프로그램 제작 및 시연 글로컬 전공실기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, 해외음원유통 플랫폼 활용 |
3학년 | 전공선택 | 전공실기 V,VI, 퍼포먼스와합창 V,VI, 그루브라이팅 I,II, 클래식 앙상블 I,II, 앙상블 III,IV, 뮤직프로덕션 테크닉 I,II, 피아노 교수법, 문화예술교육개론, 건반화성 및 실기, 음악교수학습방법, 대위법, 지휘법 |
---|---|---|
비교과 | 디지털 교육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자격증 취득 영화, 드라마, 광고음악 제작을 위한 디지털 테크닉 활용 |
2학년 | 전공선택 | 전공실기 III,IV, 퍼포먼스와 합창 III,IV, 음악사 I,II, 재즈화성학 I,II, 음악과 창의, 화성학, 앙상블 I,II, 무대예술심화 I,II, 반주법, 화성학, MIDI 기초,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|
---|---|---|
비교과 | 지역사회 음악교육 플랫폼 강화,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소통의 창, 다양한 공연을 통한 전문 능력 향상 |
1학년 | 전공선택 | 전공실기 I,II, 시창청음과 기초이론 I,II, 퍼포먼스와 합창 I,II, 맞춤형진로설계 I,II, 컴퓨터사보법, 무대예술일반 |
---|---|---|
비교과 | 전문가 초청특강, 맞춤형 진로 코디네이팅 자기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탐색, 다양한 기관과의 협업 프로젝트 |